본문 바로가기
전공노트

18강. <틀짓기 이론(Framing Theory)> 의미 / 배경 / 특징 / 비판

by daa0bang 2023. 6. 13.

오늘은 매스 미디어 효과 이론 중에 틀 짓기 이론에 대해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틀짓기틀 짓기 이론(Framing Theory)은 강효과 이론에 해당합니다. 틀 짓기 이론의 의미와 탄생 배경, 특징, 비판이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틀짓기-이론-강의노트
틀짓기-이론-강의노트

 

1. 틀짓기 이론의 의미

틀 짓기 이론(Framing Theory)은 커뮤니케이션과 인지심리학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정보나 메시지의 구성이 사람들의 인식, 이해, 판단,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는 이론이다. 이 이론은 주제나 문제를 특정한 시각이나 관점으로 제시하거나 '프레임(frame)'하는 방식이 개인의 인식과 판단에 큰 영향을 준다고 주장한다. 프레임은 특정한 시각, 관점, 논리, 감정, 가치 등을 강조하거나 선택하여 정보를 조직화하고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보의 프레이밍 방식은 수용자들이 정보를 받아들이고 해석하는 방식을 형성하며, 그들의 인식과 판단을 크게 영향을 줄 수 있다.
틀 짓기 이론은 사회 및 정치 커뮤니케이션, 마케팅, 광고, 미디어, 정책 결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이 이론은 다양한 프레임을 사용하여 동일한 정보를 다른 방식으로 표현하거나 강조함으로써 수용자의 인식을 조작하고 원하는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예를 들어, 동일한 사건에 대한 보도가 긍정적인 프레임과 부정적인 프레임으로 나뉜다면, 수용자들은 해당 사건에 대한 인식과 판단을 각각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긍정적 프레임은 보호, 혜택, 기회와 같은 긍정적인 가치를 강조하며, 부정적인 프레임은 위험, 손실, 문제와 같은 부정적인 가치를 강조한다. 이에 따라 수용자들은 정보를 받아들이고 이해하는 방식을 조정하여 다른 결정을 내릴 수 있다.
틀 짓기 이론은 인지심리학의 관점에서 정보 처리와 해석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커뮤니케이션의 효과성을 파악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또한, 프레이밍은 언론, 정치, 광고 등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정보의 효과적인 전달과 수용자의 인식 조작에 활용될 수 있는 전략적 도구로도 이용된다. 
 

2. 틀짓기 이론의 탄생 배경

1) 사회심리학

사회심리학 분야에서는 인간의 인식과 판단이 외부 정보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는 관점이 나왔다. 이후 다니엘 카암(Daniel Kahneman)과 암소스 티버스키(Amos Tversky)등의 연구에 의해 프레이밍 개념이 발전되었다. 그들은 사람들의 판단이 문제의 표현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입증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틀 짓기 이론의 개념이 형성되었다. 

2) 언론 연구

언론 연구 분야에서는 언론 보도의 영향력과 효과에 관심이 집중되었다. 특히, 동일한 사건에 대해 언론이 다양한 프레임을 사용하는 것이 정보의 인식과 이해, 의미 부여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했다. 언론의 프레이밍이 대중의 인식을 형성하고 사회적 의견을 조작할 수 있다는 가설이 제기되었고, 이를 확인하기 위해 틀짓기 이론이 활용되었다. 

3) 정치 커뮤니케이션

정치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는 특히 정치 메시지와 선거 캠페인에서 프레이밍의 역할과 효과에 관심이 집중되었다. 정치 관련 이슈나 후보자에 대한 다양한 프레임을 사용함으로써 유권자의 인식과 행동을 조작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3. 특징

1) 프레임의 중요성

틀짓기 이론은 정보의 프레임이 개인의 인식과 판단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 프레임은 정보를 조직화하고 강조하는 방식으로써, 어떤 시각이나 관점을 강조하거나 선택하여 정보를 전달한다. 이 프레임은 수용자들의 인식을 조작하고 원하는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2) 프레이밍 효과

틀짓기 이론은 동일한 정보를 다양한 프레임으로 제시할 때, 수용자들의 인식과 판단이 달라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어떤 프레임이 사용되느냐에 따라 수용자들은 정보를 다르게 해석하고 이해하며, 이에 따라 다른 결정을 내릴 수 있다. 긍정적인 프레임과 부정적인 프레임, 이익 강조와 손실 강조 등이 사용되는 경우가 흔히 있다.

3) 인지적 프로세스의 영향

틀 짓기 이론은 정보의 프레이밍이 수용자들의 인지적 프로세스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한다. 프레임은 개인의 인지 구조를 형성하고, 정보를 처리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데에 영향을 준다. 이는 정보 처리 모형이나 인지적 편향과 관련하여 연구되며 프레이밍이 개인의 주의, 기억, 판단 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 준다. 

4) 문맥의 중요성

틀 짓기 이론은 프레이밍 효과는 문맥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특정한 상황이나 문맥에서 어떤 프레임이 효과적인지는 다를 수 있다. 인지적, 문화적, 사회적 요인 등이 프레이밍 효과에 영향을 미치며, 정보를 수용하는 개인의 배경과 경험도 프레이밍의 효과를 조절할 수 있다. 

5) 응용 분양의 다양성

틀짓기 이론은 정치 커뮤니케이션, 광고, 마케팅, 언론 보도, 정책 결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된다. 이론은 정보의 효과적인 전달과 수용자의 인식을 조작하는 전략을 개발하는 데에 도움을 주며, 의사소통과 사회적 영향력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4. 비판 이론

1) 선택적 인식과 이질성

프레이밍의 주장은 정보의 프레임이 개인의 인식과 판단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그러나 비판론은 수용자들이 이미 자신의 선호, 신념, 가치관 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프레임에 대한 선택적 인식과 이질성이 발생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는 사람들이 자신과 일치하는 프레임을 선택하거나, 반대되는 프레임을 무시하거나 거부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2) 다의성과 다양성 무시

틀짓기 이론은 하나의 프레임이 개인들의 인식을 형성한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사람들이 다양한 배경, 경험, 가치관을 가지고 있으며, 프레임의 효과는 다양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비판이 있다. 특정한 프레임은 일부 그룹에는 효과적일 수 있지만, 다른 그룹에는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 

3) 프레이밍의 한계

프레이밍은 인식과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일 뿐이며, 다른 요인들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인지적 프로세스, 주의의 방향, 기억, 개인의 성향 등이 프레이밍 효과를 조절하거나 왜곡시킬 수 있다. 이를 고려하지 않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4) 사회적 구조와 시스템적 영향

틀 짓기 이론은 개인 수준에서의 프레이밍 효과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사회적 구조와 시스템적 영향을 고려하지 않는 한계가 있다. 사회적 힘과 권력관계, 문화적 영향, 사회적 정책 등은 개인의 인식과 판단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기도 하다. 이러한 사회적 요소들을 고려하지 않으면 프레이밍의 효과를 완전히 이해하기 어렵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