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공노트

7강. 시대적 변천에 따른 <매스 미디어 효과 이론(Mass Media Effect Theory)> 연구 배경 / 시대적 변천 / 이론별 특징

by daa0bang 2023. 6. 7.

오늘은 매스 미디어 효과이론에 대해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매스 미디어 효과 이론은 대중 매체가 개인 혹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이론적인 접근 방식입니다. 이론은 매체의 메시지가 어떻게 수용되고 해석되며, 개인 및 사회적인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이해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매스 미디어 효과 이론은 시대에 따라 어떻게 달라졌는 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매스 미디어 효과 연구의 배경

 매스 미디어를 통해 전달되는 메시지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면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합니다. 매스미디어가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지적하면서 동시에 매스 미디어의 부적절한 활동에 대해 비판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매스컴 학자들이 1930년대 이후부터 매스 미디어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하려는 노력을 기울여 왔습니다.  

 

2. 매스 미디어 효과이론의 시대적 변천 과정

매스-미디어-효과-이론의-변화-과정
매스-미디어-효과-이론의-변화-과정

1) 1920년대

제1기 연구 - 탄환효과 : 매스미디어의 영향은 강력하다.

2) 1940년대 중반 

제 2기 연구 - 제한효과 : 매스미디어의 효과는 제한적이다.

3) 1960년대 중반

제 3기 연구 - 중효과 : 미디어의 모습이 곧 현실이다. 

4) 1970년대 중반

제 4기 연구 - 강효과 : 매스미디어 효과는 강력하다. 

 

3. 시대별 매스 미디어 효과이론과 특징

1) 탄환효과

 - 탄환 이론(Bullet theory) : 수용자는 매스 미디어 메시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매스미디어는 거의 획일적인 형태로 대중 사회의 개인들에게 메시지를 제공하고, 그 메시지는 각 개인들의 감정에 강력한 영향을 준다. 이러한 자극들은 모든 개인의 사고와 행동에 획일적인 반응을 일으킨다. 

 - 피하주사 이론(Hypodermic needle theory) : 매스미디어 효과는 수용자에게 즉각적으로 나타난다. 이 이론은 매체가 사회적인 영향력을 가지며, 매체의 메시지가 개인에게 직접 주입되어 그들의 태도와 행동을 조종한다고 주장한다. 이론은 매체의 힘이 강력하다는 가정하에 기초하고 있으며, 매체의 메시지가 사용자에게 즉각적이고 무조건적인 반응을 일으킨다고 주장한다. 

2) 제한효과

 - 선별 효과 이론(Selective influence theory) : 매스미디어 효과는 수용자의 태도, 선입견 등에 따라 선별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태도 변화보다는 기존의 태도를 보강한다.

 - 2단계 흐름 이론(Two-step flow theory) : 매스미디어의 정보는 대중에게 직접 전달되기보다 의견지도자에 의해 한번 결러 져서 제한적으로 나타난다. 이 이론은 개인이 매체로부터의 메시지를 직접 수용하는 것이 아닌, 주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한다. 이론은 의견 리더(영향력 있는 사람)가 매체의 메시지를 받아들이고 해석한 후 주변 사람들에게 전달하면서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강조한다. 따라서 의견 리더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사회적 네트워크에서의 관계와 상호작용이 매체의 영향력에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한다. 

3) 중효과

 - 이용과 충족 이론(Uses and Gratification theory) : 사람들은 욕구 충족을 위해 미디어를 이용하고 어떤 욕구인지에 따라 미디어 이용 행태가 달라진다.  이 이론은 개인이 매체를 선택하는 이유와 개인이 매체의 메시지를 해석하는 방식에 초점을 맞춘다. 매체 사용자는 자신의 욕구와 목적에 따라 매체를 선택하고, 매체를 사용하여 정보를 얻거나 특정한 만족감을 느끼려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한다. 이 이론은 개인의 선택과 해석이 매체의 영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강조한다. 

 - 의제 설정 이론(Agenda setting theory) : 매스 미디어는 사람들에게 '무엇에 대해 생각할 것인가'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준다. 특정 의제를 강조해서 보도하면 수용자는 그 의제가 중요한 것으로 생각하게 된다.  이 이론은 매체가 어떤 주제를 다루고 강조함으로써 대중의 주의와 관심을 집중시키는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 이론은 매체가 사회적 의제 설정에 영향력을 행사하며, 대중의 의식 형성과 사회적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주장한다. 

 - 배양효과 이론(Cultivation theory) : 텔레비전을 과다하게 시청하는 사람의 경우, 그들의 머릿속에 담긴 사회의 모습은 TV속 세계와 일치한다. 

4) 강효과 

 - 침묵의 나선 이론(Spiral of silence theory) : 사람들은 자신의 의견이 소수 의견이라고 느끼는 경우, 침묵을 지켜 고립되기를 꺼린다. 매스미디어의 의견은 실제로는 소수 의견이더라도 다수 의견으로 여겨져 득세할 수 있다. 

 - 제 3자 효과 이론(The Third person effect theory) : 사람들은 반 사회적 메시지가 자신보다 제 3자에게 더 큰 영향을 준다고 생각한다. 반대로 친 사회적 메시지는 자신이 더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생각한다.(제 1자 효과).

 - 점화효과 이론(Priming effect theory) : 먼저 제시된 단어가 기폭제 역할을 하여 나중에 제시된 단어 해석에 영향을 준다. 미디어에서 주목한 이슈는 수용자의 기억에 저장된 개념을 활성화시켜 행동을 변화시킨다. 

- 틀 짓기 이론(Framing theory) : 매스미디어가 특정 이슈를 어떻게 보도하는지에 따라 메시지의 해석이 달라질 수 있다. 미디어는 시청자에게 '무엇에 대해 무엇을 생각해야 하는가'를 말해준다. 

 

댓글